문학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鷄龍山 잡신 속에 묻혀 살던 바람 鷄龍山 잡신 속에 묻혀 살던 바람 계룡산은 名山이고 靈山이라고 한다. 고대부터 五嶽 중의 하나에 속해 심신수양 장소이면서도 신성스러운 존재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朝鮮을 건국한 이성계가 계룡산 동남쪽 기슭에 새로운 도시(新都)를 만들어 수도로 삼으려 했었고 대한제국으로 국..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허풍 掌風 허풍 掌風 지구상에서 가장 虛風이 심한 것을 나열하라면 아마 중국 武俠小說에 있어서의 掌風이 한 몫 할 것이다. 掌風은 손에서 나오는 바람을 일컷지만 절대 손바람이라고 번역하지는 않는다. 손바람은 손을 까불어 나오는 바람 또는 손으로 하는 일이 잘 풀릴 때 쓰는 말이기 때문에 ..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바람이 변화시켰는가? 바람이 변화시켰는가? “무슨 바람이 불어 예까지 왔느냐?” 바람이 불지 않았으면 오지 않았을 것이라는 말이다. 어떠한 바람인지는 모르지만 분명한 것은 바람이 오고 가는 것을 변화시켰다고 암시한다. 세월이 흐르면 모든 것이 변화하기 마련인데 굳이 바람을 앞에 내세워 변명이나 ..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폭풍 속의 파랑도 폭풍 속의 파랑도 날서방은 태풍이 오는 밤이 되면 매우 바쁘다. 지난달 조업 나갔다가 아직도 돌아오지 아니한 친구네 집 지붕이 날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새끼줄을 들고 두 시간 동안이나 일을 한데 이어 처형네 집으로 달려가 집안으로 무너진 돌들을 밖으로 꺼내야 했고 이제 한시름 ..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고장 난 풍향계 고장 난 풍향계 지구에 있는 공기가 모두 같은 것이 아니다. 지역별 및 고도별 온도와 기압이 서로 다르다. 서로 다른 조건의 차이로 인해 대기가 이동하는 현상은 바람으로 나타나며 보통의 경우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구역인 고기압에서 밖으로 나가는 형상이 되고 지구의 자전에 의한 ..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골퍼 선생님 “바람” 골퍼 선생님 “바람” 미국 PGA경기에서 매년 평균 스코어가 가장 낮은 골퍼에게는 “바든 트로피”를 수여하는데 동 명칭이 영국의 골퍼 해리 바든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해리 바든은 1900년 전후에 브리티시오픈대회에서 6회 우승을 한 것으로도 유명하지만 이보다는 오늘날 전 세계..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선거에 웬 바람 선거에 웬 바람 선거철만 되면 길거리에 현수막이 줄줄이 걸려 있게 되는데 날씨가 급변해 강풍이 불게 되면 줄이 끊어져 현수막이 신호등을 가리게 되거나 도로 바닥을 뒹굴면서 아무도 시키지 않았는데 청소를 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어떤 현수막은 바람에 감히 맞서지 않기 위해 중간..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바람의 속도 바람의 속도 자연현상에 있어 빠른 속도의 기준은 대부분 소리의 속도 즉 음속이 된다. 음속은 고도나 온도 및 습도가 반영된 복잡한 공식을 거쳐 계산되지만 보통 초속 340m라고 일컫는다. 인간들은 음속을 뛰어넘기 위해 부단히 노력을 하고 있는데 마하 10의 비행기를 개발한다면 꿈의 실현이라며 온통 난리를 칠 터인데 그래봐야 초속 3,400m에 불과하다. 이에 비교할 때 빛의 속도 즉 광속은 말 그대로 천문학의 계산 방식으로 대략 초속 30만 km라는 수치를 제시하고 있다. 물론 광속 보다 더 큰 속도 단위로 타키온이 나왔고 또 다른 용어가 나올지도 모른다. 음속이나 광속과 비교해본다면 풍속은 그야말로 느려터진 자연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느린 풍속이야말로 속도를 가늠하기가 훨씬 어려울 수 있다. ..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산에서 부는 바람 산에서 부는 바람 산위에서 부는 바람 고마운 바람이라는 노래가 있다. 여름에 나무꾼이 나무를 할 때 이마에 흘린 땀을 씻어 주기 때문이라고 정감 있게 표현한다. 등산을 해 본 사람들은 산비탈을 타고 정상에 올랐을 때, 땀을 씻어주는 그야말로 그 시원한 바람의 맛을 모르는 사람이 ..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주막을 지나온 바람 주막을 지나온 바람 바람도 길을 가다가 주막만 보이면 꼭 들린다. 나그네를 따라서 은근슬쩍 들렸다가 막걸리 한 잔 쭈욱 들이키고서야 떠난다. 그리곤 취해서 비틀거리며 동에서 불었다 서에서 불었다 빙빙 돌았다 한다. 주막 이름이 선술집인지 길손집인지 아니면 옥자네인지 아리아..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봄바람 감상 봄바람 감상 봄에 부는 바람을 봄바람이라고 한다. 보통 “봄눈을 녹이는 바람”으로 상징되는 봄바람은 겨울의 얼어붙었던 세상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는 의미로 사용되며 새 생명과 희망의 대명사라 할 수 있다. 봄바람은 겨우 내내 쌓여있던 눈을 녹이기도 하지만 모든 식물에 氣와 생..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팽나무를 사모한 바람 팽나무를 사모한 바람 당신도 이제는 늙어 보입니다. 당신 몸을 스치는 내 손길이 퍽이나 거친 느낌을 받았고 가지 사이를 빠져 나가는 내 치맛자락이 찢어질까 두려울 정도로 딱딱한 상태가 되었음을 확인한 답니다. 피부가 헐고 갈라지고 부서지는 것은 세월 탓이라 할 수 있지만 나뭇..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음풍(吟風, 陰風, 淫風) 음풍(吟風, 陰風, 淫風) 吟風은 바람을 읊는다는 말이다. 다산 정약용은 강진 등지에서 여러 해 동안 귀양살이를 하면서 여덟 가지 자연의 맛을 즐겼다고 했는데 그중 첫째로 吟風을 제시했다. ‘西風過家來(서풍은 집을 스쳐 불어오고) 東風過我去(동풍은 나를 스쳐 지나간다) 只聞風來..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음식 말리기 도우미, 바람 유유의 바람 음식 말리기 도우미, 바람 우리 조상은 음식을 장기간 보존하는 생활의 지혜를 많이 터득하고 있었다. 저장하는 것도 단순한 보관이 아니라 맛과 모양을 유지하고 영양가를 높이는 방법을 강구 하였다. 생선과 채소를 바람이나 햇볕에 말리어 부패를 방지하고 철에 상관없이..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바람 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바람 들지 않도록 해야 한다 요즈음에는 시골 일부 농가에서나 겨울나기 위해 무와 배추를 땅에 묻고 있지만, 예전에는 대부분 가정에서 이 방법을 사용해서 채소를 월동시켰다. 가을철 김장에 착수하기 직전 남자들은 김장독을 묻기 위해 언 땅을 깊게 파게 되는데 이때 월동채소를 묻을..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바람의 힘과 제주 돌담 바람의 힘과 제주 돌담 불어대는 바람 속에는 힘이 들어 있다. 바람의 힘을 한자로 쓴다면 풍력이 될 수 있지만 바람의 힘과 풍력은 다소 뉘앙스가 다르다. 바람의 힘이란 흔히 말하는 풍력은 아니라는 뜻이 된다. 풍력이라는 단어는 “바람을 이용해 얻는 에너지” 의미가 있고 곧 풍력..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東洋人의 영원한 신비 “바람 風” 유유의 바람 東洋人의 영원한 신비 “바람 風” 佛家에서는 우주와 인간을 구성하는 4대 요소로 地水火風을 꼽아 왔다. 만물이 물이나 불 또는 흙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는 것은 불교뿐만 아니라 고대로부터 세계 각국의 종교인이나 철학자들이 거론하여 온 것이 사실이다. 중국의 경우.. 문학/시조-삶 2013. 10. 7. [스크랩] 인생 달리기 인생 달리기 유유 100m 달리기 무조건 빨리 뛰면 된다 먼저 도착하면 이기는 것이다 바위 앞으로 달리기 자갈길을 뛰어넘으며 질주한다 앞을 보지 않으면 먼저 도착하는 사람 먼저 머리 깨진다 낭떠러지로 달리기 앞사람 옆사람 서로 무시하며 경주한다 안개 속 헤메이다 보면 먼저 가나 .. 문학/기행문 2013. 10. 7. [스크랩] 월출산 전라남도 영암과 강진에서 오를 수 있는 독립된 산으로 형성되었으며 해발 809m로 높지는 않지만 산체(山體)가 매우 크고 수려하다. 1973년 3월 남서쪽으로 3.5km 떨어진 도갑산(道岬山:376m) 지역을 합하여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가, 이후 1988년 6월 국립공원으로 승격.. 문학/기행문 2013. 10. 7. [스크랩] 대둔산 출처 : 유유의 습작노트글쓴이 : 봉명산 원글보기메모 : 문학/기행문 2013. 10. 7. [스크랩] 제천 정방사 제천 정방사[ 淨芳寺 ] - 충북 제천시 수산면 능강리 해발고도 1,016m의 금수산 자락 신선봉 능선에 있는 사찰로, 662년(신라 문무왕 2)에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다. 대한불교 조계종 속리산 법주사의 말사로, 《동국여지승람》에는 산방사로 소개되어 있으며, 의상이 도를 얻은 후 절을 짓기 .. 문학/기행문 2013. 10. 7. [스크랩] 단양 8경 중 단양 8경 단양 8경이라 함은 퇴계 이황이 단양군수로 재직할 당시 단양에서 가장 뛰어난 명승지 8곳을 선정해 팔경이라 칭하였는바 관동 8경과 버금해 우수한 경치로 알려져 있다. 8경: 하선암, 중선암. 상선암, 사인암, 구담봉, 옥순봉, 석문, 도답삼봉 이중 옥순봉은 청풍군에 있어(현재 .. 문학/기행문 2013. 10. 7. [스크랩] 세계 최대의 돌부처 낙산대불 세계 최대의 돌부처 낙산대불(러산따포) 낙산대불은 쓰촨성의 성도인 청뚜에서 버스로 2시간 거리에 있는 낙산시 외곽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능운사가 있는 강과 접한 서란봉 서쪽 절벽에 있다. 낙산시는 옛날 촉나라 땅에서 아름답기로 유명한 가주라는 큰 고을이라 하였는데 중세부터.. 문학/기행문 2013. 10. 7. [스크랩] 티벳과 중국의 접경 송판고성 티벳과 중국의 접경 송판고성 티벳의 땅은 중국 영토의 1/4이나 된다고 한다. 티벳망명정부는 티벳의 영토가 220만 평방km라고 하나 중국의 자료는 110만평방km로 절반에 불과하다. 이는 본래 티벳 땅이었던 지역이 현재는 청해성, 사천성, 운남성에 절반 정도를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이로.. 문학/기행문 2013. 10. 7. [스크랩] 물은 구채구가 최고라 하는데 구채구(쥬자이거우 Jiuzhaigou , 九寨溝, 九寨沟) 중국 쓰촨성[四川省] 아바창쭈창[阿壩藏族羌]에 있는 현(縣)이다. 면적 580㎢로 구채구라는 도시는 관광산업으로 인해 새로 조성되어가는 추세이다. 아바장족자치주 북부 바이룽강[白龍江] 지류인 바이수이강[白水江] 유역에 자.. 문학/기행문 2013. 10. 7. [스크랩] 중국 황룡(黃龍)에서 물의 색을 보다 1. 중국 황룡(黃龍) 중국의 황룡 정확히는 황룡풍경구라고 하는 명승지는 사천성 송판현의 깊은 산속에 자리잡은 계곡을 말한다. 사천성에는 장강의 상류를 구성하는 4개의 큰 강이 흘러 四川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 가장 큰 강을 岷江이라 한다. 중국의 고대 설화 3황5제 중 우와 순을 논.. 문학/시-자연 2013. 10. 7. 가막살나무 열매 사랑은 죽음보다 강하다 유유 그래서 양지에서 햇볕 받으며 기다림에 목 마른 지 아니면 투병하는지 알 수 없는 그 나무 봄날의 새하얀 꽃도 가을철의 빠알간 열매도 그리움이 있다는걸 확실히 호소하는 그 나무 겨울이 되면 꽃도 열매도 가진 것 없다면서도 사랑만은 내면에 갈무리한 .. 문학/시-자연 2013. 10. 6. 산길 걷노라면 산길 걷노라면 유유 산길 걷노라면 내가 있다는 사실 알게 된다 몸이 하나의 열차가 되어 허공에 설치된 궤도를 따라 좌우 상하로 흘러다닌다 머릿속은 백지가 되었다가 다시 채워졌다가를 반복하며 전류의 흐름처럼 요동친다 길이 있어 걷고 있음에도 없는 길 가게 될까 두려워하지도 .. 문학/시-야생화 2013. 10. 5. 길가에 버려진 둥근잎유홍초 길가에 버려진 둥근잎유홍초 유유 정원에서 살던 호사는 잊어버리자 길가에 버려졌더라도 보란 듯이 돋아 올라 살아 있음을 모습 보이자 세상에 쉬운 일이 어데 있겠나 담벼락 돌 틈이라도 기어 올라가 선홍색 꽃 깃발 흔들며 성공했노라 알리자 슬퍼해 봤자 나만 손해다 폐허의 공터에.. 문학/시-야생화 2013. 10. 3. 고추나물의 노란 꽃 고추나물의 노란 꽃 유유 지나치게 아름다우면 태양의 질투를 받아야 하고 여러 색으로 장식하면 천하게도 보일세라 수수하지만 밝은 노랑 가져와 아주 살짝 고개 돌리며 환하게 웃고 있구나 . ........................ 고추나물; 전국의 산과 들녘 약간 습한 곳이나 반음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 이전 1 ··· 121 122 123 124 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