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스크랩] 바람을 찾아서 바람을 찾아서 산으로 들로 바다로 바람을 찾아 갔습니다. 예전에 만났던 그 바람을 찾아서 말입니다. 그런데 아직도 그 바람이 무엇인지 조차 모르면서 찾아다니고 있으니 얼마나 한심스럽겠습니까? 동쪽에서 만난 바람은 자상하기는 했지만 그 바람은 아니었습니다. 서쪽에서 마주친 .. 사진/풍경 2013. 10. 7. [스크랩] 메밀꽃과 한라산, 오름 출처 : 유유의 습작노트글쓴이 : 봉명산 원글보기메모 : 사진/풍경 2013. 10. 7. [스크랩] 무엇일까? 출처 : 유유의 습작노트글쓴이 : 봉명산 원글보기메모 :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바위 조각하는 바람 바위 조각하는 바람 일도 정진하며 도를 닦기 위해서는 아니랍니다. 이걸 운명이라 하는지도 숙명이라고 하는지도 모릅니다. 아마 석수장이의 원혼인지도 모릅니다. 바람은 무의식의 세계 속에서 작업을 합니다. 수없이 많은 동작을 반복하면서도 같은 형태의 움직임은 단 한 번도 되풀..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아이들과 놀아주는 바람 아이들과 놀아주는 바람 누구나 어린아이 시절이 있었다. 대부분 사람들이 잊고 지내기는 하나 동심의 세계에서 살면서 자연을 벗 삼아 생활한 적이 있었다. 요즘의 아이들은 주로 집안에서 컴퓨터 게임에 몰두하고 있으며 밖에 나가서도 PC방이나 풀스방 또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각종 놀..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콧바람 콧바람 코로 내보내는 바람이나 기운을 콧바람이라고 한다. 코를 통한 날숨과 들숨이 콧바람이기 때문에 인간의 생명에 절대적으로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영화 등지에서 사람이 살아있는지 죽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손을 코에 갖다 대고 콧바람이 나오고 있는지 여부를 측정해 보는 ..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이 몸이 제주바람을 어찌 좋아 하오리까! 이 몸이 제주바람을 어찌 좋아 하오리까! 아주 오래 한 해녀생활은 아니지만 오늘만큼은 무척 힘들었다. 바람 때문이다. 뭍으로 돌아오는 오늘의 물길은 여느 물길과 달랐다. 큰 바람이 만들어 놓은 높은 파도도 문제거니와 앞바람을 거슬러 헤엄치며 앞으로 나아가기가 너무도 힘에 벅찼..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강에서 사는 바람 강에서 사는 바람 강에서 사는 바람은 물 길 따라 나뭇잎 배를 흘려보내는 즐거움에 항시 취해 있다. 황포돗대를 몰아 본지 무척이나 오래인지라 그 추억을 잊을 수 없어 나뭇잎이라도 이리저리 흔들며 뱃놀이를 한다. 물길을 돌 땐 바위 절벽에 걸려 다칠 경우도 있고 넓은 모래톱에 나..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바람과 깃발 바람과 깃발 깃발은 늘 바람을 기다리며 세월을 보낸다. 잔잔하게 불어주는 바람이야말로 깃발의 존재를 확인시켜주며 깃발이 비로소 깃발임을 깨닫게 해주는 것이다. 모진 광풍으로 시달리며 여러 군데 찢기고 부서질 때엔 원망하기도 했고 바람 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다고 한탄도 해 ..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일하는 사람을 좋아하는 바람 일하는 사람을 좋아하는 바람 바람은 무슨 일이던 열심히 일하는 사람을 좋아한다. 바람은 일하는 사람을 격려해 능률을 높여 주기도 하고 힘든 줄 모르게 일에 심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바람이 일하는 사람과 호흡이 맞을 땐 말 그대로 신바람이 난다고 할 수 있다. 바람은 언..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오름에서 만난 바람 오름에서 만난 바람 어느 초겨울 주말 모처럼 제주도의 오름 트래킹을 하였다. 특색 있는 바람을 맛보고 음미하기 위해 구좌읍 송당리에 있는 거슨새미오름을 찾아 송당 목장길 인근에 주차를 하고 오름 오르기를 시작하였다. 거슨새미라고 하는 말은 한라산 방향으로 물이 솟아 나온다..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7. 鷄龍山 잡신 속에 묻혀 살던 바람 鷄龍山 잡신 속에 묻혀 살던 바람 계룡산은 名山이고 靈山이라고 한다. 고대부터 五嶽 중의 하나에 속해 심신수양 장소이면서도 신성스러운 존재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朝鮮을 건국한 이성계가 계룡산 동남쪽 기슭에 새로운 도시(新都)를 만들어 수도로 삼으려 했었고 대한제국으로 국.. 이전 1 ··· 391 392 393 394 395 396 397 ··· 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