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디카시

비암

 

 

 

뱀의 체면

 

 

오래전엔 신이 되어 최고의 섬김을 받았는데 

어느 날 보양식이 되더니만 

이젠 애교스러운 장난감이 되어야 한다니 

 

차라리 돌이 되고 싶어라

 

 

 

 

메두사를 바라보는 자가 돌이 되어야 하는데

메두사가 먼저 돌이 되다니

어쩌다가 뱀의 체면이 이 지경까지 되었을까

 

 

 

제주도의 뱀 신앙은 크게 3종의 유형으로 살펴 볼 수 있다

 

1. 길흉화복이나 장수 등을 기리는 우리나라 토속신앙 칠성신앙이 제주도에서는 뱀과 연계되어 칠성굿 속에 융화되었 고 마을의 칠성제나 각종 굿을 통해 자연스럽게 뱀이 숭배 대상으로 되었다. 제주시 중심지엔 칠성통도 있다.

2. 표선면 토산리에서는 집안에서 뱀(구렁이)을 신성시하여 지극정성으로 모시며 특히 여성은 뱀의 화신으로 생각하였고 처녀가 시집 갈 때 같이 모셔 가는 정도로 한 몸으로 숭상하였다. (사진은 나무 뿌리조차 뱀신 형상으로 표현)

3. 뱀에게 복종하다가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생긴 전설 속에 녹아 있는데 새로 부임한 판관이 김녕사굴에 사는 뱀을  처단 한다거나 안덕면에서의  뱀 퇴출 굿 의식 등에서 발견할 수 있다.  

 

 

뱀이다 - 김혜연 노래

 

뱀이다 뱀이다
몸에 좋고 맛도 좋은 뱀이다 뱀이다
요놈의 뱀을 사로잡아
우리 아빠 보약을 해드리면
"아이고 우리 딸 착하구나"
하고 좋아하실꺼야

 

 <돌이 되어 납작 엎드려>

 

'문학 > 디카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 아닌 새 잎  (47) 2025.04.27
걸어 온 인생길  (44) 2025.04.25
어지러운 날  (35) 2025.04.21
우영팟의 송키  (43) 2025.04.19
잘못된 이름  (49)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