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시-야생화

떨어져 살기

 

 

암수딴그루 새덕이/유유

 

 

오래전부터 견우와 직녀 이야기는 누가 만들어 냈을까  

떨어져 살아가는 것은 타고 난 팔자  

누군가는 애틋한 그리움이 있어서 오히려 좋다고 했다  

 

 

 

 

기쁨의 눈물과 이별의 눈물을 같이 맞이하게 되는 곳에서

새덕이는 암수 따로 꽃을 피운다네

바로 곁에 있진 않지만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것도 아니기에 더 좋아

 

 

 

 

붙어서 살아봤자 싸움밖에 더하겠는가

만나고 헤어짐의 반복은 정을 더욱 단단하게 단련시키는 법

스마트폰이 참 좋은 세상 만들었도다.

 

 

 

새덕이; 제주도 등 한반도 남쪽 지방에서 자라는 늘푸른큰키나무로 잎이 바닷물고기인 서대기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이른 봄에 꽃을 피우는 나무라 해서 관심을 받는 대상인데 자웅이주로 암수가 서로 다른 형태의 꽃 모습을 보인다. 열매는 10월에 푸른색이었다가 검은색으로 익는다. 이름에 대한 정확한 유래나 꽃말 등을 찾아 볼 수 없다. 

 

 

 

'문학 > 시-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년과 개구리  (36) 2025.04.05
귀로 듣는 봄  (50) 2025.04.01
봄 알림이 보조  (48) 2025.03.25
봄 합창 경연  (52) 2025.03.24
봄 알리기 대회  (33) 2025.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