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문학/시-자연 2013. 10. 8. [스크랩] 오름 길라잡이 3 오름 길라잡이 3 유유 오름 가는 날엔 언제나 마음이 설렌다 초등학교 다닐 적 소풍 가는 기분을 느낀다 오름 오르는 길은 늘 다르게 생각된다 언젠가 꿈속에서 거닐던 오솔길 연상하게 된다 오름 위에 서면 항상 깨달음의 길을 실감한다 다른 세상에 온 나를 발견하는 순간에 직면한다 .. 문학/시-자연 2013. 10. 8. [스크랩] 오름 길라잡이 2 오름 길라잡이 2 유유 이 들꽃 이름은 무엇인가요? 미어캣처럼 서 있는 것은 꽃향유랍니다. 단풍나무 닮은 저것은 무슨 나무입니까? 손바닥이 두꺼운 것은 고로쇠와 엄나무가 있지요. 여기저기 솟아있는 버섯 먹을 수 있는 것인가요? 봄에 고사리 꺾으려면 어디로 가면 좋을까요? 오름엔 .. 문학/시-자연 2013. 10. 8. [스크랩] 오름 길라잡이 1 오름 길라잡이 1 유유 우선 오름의 제왕이신 한라산에게 신고한 후 어느 오름 향해 힘찬 출발 하면서 오름 설명하려 하였건만 구름 속에 숨은 오름 너무 많고 가는 길도 안개 속에 가려 버리니 오름이라는 말조차 꺼내지 못하는 그 순간이 부끄럽더라 이 오름의 위대함을 어찌 설명할 수 .. 문학/수필과 산문 2013. 10. 8. [스크랩] 쇠소깍의 동양화 유감 쇠소깍의 동양화 유감/유유 아마 1998년 가을 쯤 되는 것 같다. 어느 한 지인이 제주도에 전통적인 동양화 모델이 있으니 가보자고 하여 따라가 보았다. 전통적인 동양화라면 멀리 구름 위에 펼쳐지는 은은한 산과 잔잔한 호수 또는 강 그리고 그 위에 떠 있는 배와 낚시하는 노인 정도를 떠.. 문학/시-자연 2013. 10. 8. [스크랩] 해무 저 편에 출처 : 유유의 습작노트글쓴이 : 봉명산 원글보기메모 : 문학/시-자연 2013. 10. 8. [스크랩] 그 섬이 보이는가 그 섬이 보이는가 예전엔 사람이 살았었고 그리고 바람만이 남아 있다가 게들도 떠나고 난 후 어디론가 사라져버린 그 섬이 보이는가 그림자라도 흔들린다면 있었다는 증명이라도 하늘에 알린 터인데 갯내음조차 없어 배를 버리고 떠난다. 문학/시-자연 2013. 10. 8. [스크랩] 형제섬이 저기 있네 출처 : 유유의 습작노트글쓴이 : 봉명산 원글보기메모 : 문학/시-자연 2013. 10. 8. [스크랩] 비양도 바라보며 출처 : 유유의 습작노트글쓴이 : 봉명산 원글보기메모 : 문학/시-야생화 2013. 10. 7. [스크랩] 고추나물의 노란 꽃 고추나물의 노란 꽃 유유 지나치게 아름다우면 태양의 질투를 받아야 하고 여러 색으로 장식하면 천하게도 보일세라 수수하지만 밝은 노랑 가져와 아주 살짝 고개 돌리며 환하게 웃고 있구나 . ........................ 고추나물; 전국의 산과 들녘 약간 습한 곳이나 반음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 문학/시-야생화 2013. 10. 7. [스크랩] 미친 여자 아니라는 영아자 미친 여자 아니라는 영아자 유유 머리카락 헝클어지면 미친 여자인가 산기슭에 새소리 울리고 계곡엔 물이 달리는 소리에 구름 웃는 소리도 듣다 보니 머리 빗을 시간 없어 그렇게 살았더니만 겨우 한다는 소리가 정신 나간 여자 취급하고 있네 보랏빛 색종이 허공에 던져 띄운 후 가위 .. 문학/시-야생화 2013. 10. 7. [스크랩] 헌시(여류화가의 야생화 사진전) 들꽃에 마음 담아 유유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했는데 아름다운 모습까지 그려주면 그는 진정 나의 분신과 같은 존재가 될까 붓으로 피어난 들꽃이 야생에서 자란 꽃 속에 담겨있는 사랑 인생 그리고 더 많은 꽃말 그런 것들을 다 표현할 수 있을까 향기.. 문학/시-야생화 2013. 10. 7. [스크랩] 박주가리의 꿈 박주가리의 꿈/유유 꽃을 피웠다 보랏빛 나는 흰색 꽃을 피웠다 별을 닮기도 하고 불가사리처럼 생기기도 한 솜털 송송 솟아오른 그러한 꽃들 많이도 피웠다 머지않아 열매를 만들 것이다 그 꼬투리 속엔 명주실 저장할 것이다 그리곤 솜사탕처럼 부풀려 밖으로 내 보내 새로운 땅을 찾.. 이전 1 ··· 355 356 357 358 359 360 361 ··· 4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