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여 사는 홀아비꽃
유유
사랑이 괴로워 홀로 산다고 하니
알 수 없는 말
그러면서도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모여 산다니
더욱 이해하기 어려운 존재
홀아비들이 모여서 무엇을 할까
합창 연습
가장 그럴듯한 변명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지만
어째 아닐 것 같은 기분
모여 있어도 혼자는 혼자다
홀로의 허허로움을 달래기 위해 서로 의지할 뿐
사랑과 괴로움의 경계선에서 고뇌하는
군중 속의 외로움이다.
홀아비바람꽃; 중북부지방의 높은 산이나 숲속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조선은연화, 홑바람꽃 등으로도 불린다. 20가지 바람꽃 종류 중 원줄기에서 꽃대가 한 개 나와 꽃이 핀다고 하여 홀아비바람꽃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한국 특산식물로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고 열매는 7~8월에 납작한 타원형으로 맺힌다. 꽃말은 “사랑의 괴로움”

'문학 > 시-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녀치마 (0) | 2022.05.13 |
---|---|
금새우란의 광채 (0) | 2022.05.12 |
꽃이 큰 애기송이풀 (0) | 2022.05.10 |
바람난 여인 아닌데 (0) | 2022.05.09 |
한계령풀의 비밀 (0) | 2022.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