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열 문학/시-야생화 2022. 2. 4. 당매자나무의 정열 당매자나무의 정열 유유 봄날의 노란 꽃잎에서 시작된 그리워하는 마음 여름 지내며 푸른 정 쌓아가더니만 가을 맞아 빨간 열매로 정열을 토해낸 후 겨울까지 하얀 눈 머리에 이고 다시 봄을 기다린다 주변 시선을 무시한 채 불타는 사랑의 빛을 발하며 언제까지나 사그라지지 않겠노라 다짐하는 모습 새봄 올 때까지 열매 달고 있는 정열이란 믿음직한 일편단심 인정하지만 무엇인가 접근하기 어려움 가시만 좀 떼어주면 까다롭다고 하지는 않겠거늘. 당매자나무; 산과 들의 다소 낮은 지역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당소벽이란 이름도 있다. 맹아력이 강하고 추위에 잘 견디며 내염성과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력이 커서 해안지방과 도시에서도 재배될 수 있다. 4~5월에 노란 꽃이 피고 가을에 타원형의 열매를 맺는데 겨울을 넘어 봄까.. 문학/시-야생화 2021. 3. 25. 겹동백의 고뇌 겹동백의 고뇌 유유 겨울의 불타는 정열이면 충분하거늘 여름의 붉은 장미가 부러워 호기심일까 만용일까 지나친 불사름에 심장이 터져 오른다 너무나도 아름다움을 사랑했기에 비밀스러운 사랑을 추구했기에 변신에 변신을 거듭해 그리움을 갈무리 다른 존재란 오해가 두렵다 겨울 견딘 봄은 짧고 기온은 왜 자꾸 빨리 오르기만 해 가지를 붙잡은 손의 힘은 빠져 가는데 기다림의 순간이 아득하기만 하다. 문학/노랫말 2021. 1. 16. 설중화 설중화(雪中花) 유유 그대 마음은 눈 속의 꽃이요 곱게 피었지요 차가운 듯 보이면서도 정열을 숨기고 안으로 갈무리하네요 쉽게 접근하지 말라 하심에 그대의 그림자라도 되고 싶어요 그대 의지는 눈 속의 꽃이요 굳게 피었지요 차디찬 대지를 녹이는 열정을 갖고서 고독을 갈무리하네요 그대 옷자락을 부여잡고서 혹한을 견딘 절개 묻고 싶어요. 문학/노랫말 2020. 6. 2. 꽃양귀비 꽃양귀비 유유 위험한 아름다움 불나비 사랑인가 은근한 유혹이란 오해도 상관이랴 땡볕의 정열보다 무서운 집념 있어 천하를 종횡하는 치맛자락 공허하다 대지를 지배하는 허망한 꿈일런가 치명적 아름다움 갈무리 어려워라 누군가 다칠세라 침샘의 독을 빼니 저리는 경국지색 한길가에 널렸구나 꽃양귀비; 정명인 개양귀비를 격을 높여 부르기 위해 사용하는 말로 우미인, 우미인초, 물감양귀비라는 이름도 있다. 양귀비가 마약 재료인 아편 성분을 갖고 있는데 반해 관상용으로 개량된 것이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적색이지만 여러 가지 품종이 있으며 가지 끝에 1송이씩 달리고, 피기 전에는 밑을 향하다가 필 때에는 위를 향한다. 꽃.. 문학/시-야생화 2019. 12. 2. 부채선인장의 백년화 부채선인장; 손바닥선인장이라고도 하는데 제주도에서는 백년초라고 부른다. 멕시코에서 흘러와 제주도 서쪽 해안에 자리 잡은 것으로 추정하는 선인장의 일종으로 바닷가에서 주로 자라지만 일부 농가에서는 소득 작물로 재배도 한다. 위장과 변비를 비롯해 당뇨와 항암까지 다양한 .. 문학/시-야생화 2018. 6. 2. 마른 나뭇가지 비비추난초 마른 나뭇가지 비비추난초/유유 바닥에 바짝 붙은 작은 이파리 한 장 의지해 가늘고 길게 올린 마른 나뭇가지엔 무겁노라 깃발 달지 못하니 모기만이 대롱대롱 아차 하면 부러질라 작은 바람이라도 오지 마라 지나가는 노루 다리도 무섭기만 하다 그래도 이것이 꽃이었노라 보여주고 싶.. 문학/시-야생화 2018. 2. 4. 당매자나무 열매의 정열 당매자나무 열매의 정열/유유 봄날의 노란 꽃잎에서 시작된 그리워하는 마음 여름 지내며 푸른 정 쌓아가더니만 가을 맞아 빨간 열매로 정열을 토해낸 후 겨울까지 하얀 눈 머리에 이고 다시 봄을 기다린다 주변 시선을 무시한 채 불타는 사랑의 빛을 발하며 언제까지나 사그라지지 않겠노라 다짐하는 모습 새봄 올 때까지 열매 달고 있는 정열이란 믿음직한 일편단심 인정하지만 무엇인가 접근하기 어려움 가시만 좀 떼어주면 까다롭다고 하지는 않겠거늘. ....................................................................................... 당매자나무; 산과 들의 다소 낮은 지역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당소벽이란 이름도 있다. 맹아력이 강하고 추위에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