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시-야생화

정신 나간 으아리

 

 

정신 나간 으아리

 

사는 곳이 험하고 

주변 여건도 무척이나 힘들기만 하고 

투덜대지 말라네 

자유로운 영혼에 날개를 달면 된다나 

 

 

 

 

옆에 나무가 있으면 타고 올라가

하늘을 잡아 보려 하고

주변에 아무것도 없으면 한없이 기면서

멀리 멀리 바닷물 마시러 가면 된다고 한다

 

 

 

 

봄엔 뿌리로 약성을 만들어 내고

여름엔 질기고도 강한 생명줄 뻗고 뻗은 후

가을날에 결실을 맺으면 되는데

아직 모든 준비가 안 되었으니 겨울철에 그냥 꽃을 피운 또라이

 

 

 

 

참으로 으악 소리 나올만도 하건만

차가운 바람 몰아치는 바닷가에서 지나가는 관광객 바라보며

망상에 사로잡힌

그런 존재가 있다고 하나 보다.

 

 

 

으아리; 으아리 종류는 선인초, 개비머리, 마음가지나물, 거의채라는 이름도 있으며 제주도에서는 저슬사리(겨울 줄기)라고 불렀다. 용어에 대해 여러 설이 있으며 고려시대의 어사리가 변해서 된 것이라고도 한다. 짐을 나르는 장모가 사위에게는 잘 끊어지는 사위질빵으로 멜빵을 메주고 하인에게는 강한 덩굴로 끈을 묶어 주었는데 하인이 "으아라차찻" 힘을 쓰는 모습에서 으아리란 말이 나왔다는 말도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위령선이라 하며 신경통이나 통풍 등에 사용했고 최근 임상시험에서 급성황달, 전염성 간염, 결막염, 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다고 밝혀졌다. 꽃말은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 "고결

 

 

참으아리; 으아리가 봄꽃이라면 참으아리는 가을꽃이라 할 수 있으며 제주도에서는 겨울철에도 볼 수 있는데 주로 바닷가에서 자란다. 꽃받침이 4장으로 고정되어 있고 수술과 암술이 으아리에 비해 길며 잎은 두꺼우면서도 윤기 나고 부드럽다. 털이 밀생한 꽃자루는 으아리보다 짧고 통통하고 꽃봉오리는 면봉처럼 생겼다. 외대의아리나 큰꽃으아리와도 차이점이 조금씩 있다.

 

 

 

'문학 > 시-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질 정화 물박하  (57) 2024.12.17
추운 해안의 덩굴모밀  (50) 2024.12.16
겨울 수로의 물봉선  (51) 2024.12.13
산감국이라는 말  (55) 2024.12.12
사랑의 열매 죽절초  (50) 202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