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시-야생화

산골짝 여인 함박꽃




산골짝 여인 함박꽃 /유유

 

저어기

사람들이 다가오네

아마 등산 다니는 남자들 같아

 

괜스레

가슴이 두근거려

볼이 화끈거리고 다리도 떨려 오네

 

외간 남정네 보는 것

처음이라

고개만 푹 수그리고 있을 수밖에

 

멋진 저 사람이

날 데리고

산에서 나가게 해주면 얼마나 좋을까.

 

...........................

함박꽃나무; 산목련, 함백이꽃, 木蘭, 天女花, 山牧丹, 함백이 등으로도 불린다. 작약을 함박꽃이라고도 하나 작약 꽃 크기가 함박(함지박)만하다고 하여 붙여졌을 뿐 본래의 함박꽃과는 전혀 다르다. 깊은 산의 산골짜기 숲 속에서 자라는 작은 나무다. 서늘한 너덜바위에서도 보인다고 한다. 6월에 흰색으로 피는 꽃은 연노란 암술과 자주색 꽃술을 갖고 있지만 항시 고개를 숙이고 있어 잘 보이지 않고 향기는 은은하며 멀리 퍼진다. 김일성이 1960년경 황해도에서 휴양 중 인근 산에서 순백의 함박꽃 아름다움에 취해 "산에서 피는 난초"라고 평가함에 따라 북한은 목란이란 이름으로 기존의 국화였던 진달래꽃을 함박꽃으로 바꿔 버렸으며 평양 등 여러 곳에 목란관을 지었고 화폐에 사용하는 등 상징물로 삼고 있다. 한방에서는 신이화란 이름으로 잎과 수피 등을 복통, 위장병, 고혈압, 두통, 신경통에 사용한다고 한다. 꽃말은 "수줍음, 부끄러움"





'문학 > 시-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은 진주 흑난초  (0) 2017.06.18
박새꽃 피는 숲의 적막  (0) 2017.06.15
두루미천남성의 자태  (0) 2017.06.13
무엽란 그리기  (0) 2017.06.12
이나무에 걸린 꽃  (0) 2017.06.10